[드라마] 응답하라 1988 :: 쌍문동 오총사가 전한 사랑과 우정, 가족의 소중함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응답하라 시리즈 세 번째 작품으로, 앞선 두 작품의 인기를 이어가며 엄청난 흥행을 선보였다. 시대적 배경에 걸맞는 흐름 속에서 과거를 맛깔나게 재현하며 흥미로움을 자아냈을 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열연이 캐릭터에 완벽히 녹아들어 한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1988년 쌍문동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이야기는, 쌍문동 오총사가 전하는 사랑과 우정, 가족의 소중함 사이에 고스란히 녹아 추억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며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응칠(응답하라 1997)을 시작으로 응사(응답하라 1994)의 뒤를 잇는 응팔은 개인적으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응답하라 시리즈가 되었다. '내 끝사랑은 가족입니다'라는 포스터의 카피 문구에 걸맞는 스토리 전개가 중심인물들의 사랑 못지 않게 마음을 파고들며 곁에 있는 가족 구성원들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도왔다. 


부모님과 자식의 관계, 형제와 남매 간에 벌어지는 에피소드가 엄청난 공감대를 형성했던 것도 마찬가지였다고 볼 수 있다. 



서로의 사정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쌍문동 골목에서 끼니 때가 되면 음식을 나누며 따뜻한 정을 이어갔던 동네 사람들의 모습 또한 그중 하나였다. 푸근한 인심 속에서 자라나던 다섯 친구들이 돈독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 또한 제대로 확인할 수 있어 흥미로웠고.


명대사도 참 많았는데, 1순위가 뭐냐는 질문에 보라가 나 자신이라고 답했던 것이 여전히 강렬하게 머리 속에 남아 있다. 내가 존재해야 삶 또한 흘러가는 것이므로, 그녀의 똑부러지는 발언을 마음에 새기며 살아가려고 노력 중이다. 





동룡, 택, 덕선, 정환, 선우. 다섯 친구의 매력 또한 각기 달라 보는 재미를 더했다. 이로 인해 다섯 명이 함께 모이는 장면을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지 않을 수 없었다. 이렇게 사진만 봐도, 쌍문동으로 마음이 달려가는 기분이 든다고나 할까? 


응답하라 시리즈는 청춘물에 가깝지만 추리가 필요한 부분이 있기에 이로 인한 호기심을 자아내는 컨셉이 대표적인 드라마다. 그것은 바로, 주인공의 남편에 대한 것. 응팔에선 혜리가 맡은 캐릭터인 성덕선의 남편을 찾는 것이 시청자들의 임무였다.



가장 유력한 인물로 떠오른 정환과 서서히 존재감을 드러내던 택 사이에서 놀라운 결말을 이끌어냈던 제작진의 시나리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금치 못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예상했던 것과 달라서 오히려 더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의외성이 가져다주는 유쾌함 역시, 응팔이 내놓은 신의 한수였다고 여겨진다.   





최택은 천재 바둑기사로 명성이 자자했지만, 쌍문동 오총사 중에서는 순박함을 맡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세상 물정을 잘 몰라 챙겨줘야 할 것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아이였다. 덕선 역시 그래서 택이에게 신경을 많이 썼는데 동네를 벗어나 중국에서 열린 바둑대회에 동행했을 당시 180도 다른 친구의 모습을 발견, 이로 인해 지금까지와는 또다른 감정을 경험하게 된 것은 어떻게 보면 예정된 수순이 아니었나 싶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이전 시리지 못지 않게 많은 스타를 배출한 작품이기도 한데, 그중에서도 최택을 연기한 박보검이 단연코 최고의 수혜자라고 봐도 될 듯 하다. 순박한 소년의 이미지와 투철한 직업정신에 입각한 뛰어난 바둑 실력에 감춰져 있던 카리스마까지 표출돼자 모든 것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뤘으니 말이다. 


여기에 덕선만을 향한 순애보 역시, 시선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다. 





응답하라 1988이 전한 삶의 커다란 의미 속에 자리잡은 가족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사랑과 우정을 포함한 희로애락으로 일구어낸 보물과도 같다. 언제나 곁에 있어주는 이들로 인해 인생은 더 풍요로워졌다.


쌍문동 오총사가 들려주던 사랑과 우정은 단순히 남녀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기에 더더욱 가치가 있었다. 모두가 가족 같았던 그 시절, 그 동네, 그 골목. 드라마는 오래 전에 끝이 났지만, 가끔씩 잊지 않고 생각나는 이유는 아마도 이런 것 때문이 아닐까 싶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