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두 사람, 단편소설집을 통해 만난 또다른 삶의 이야기

김영하의 <오직 두 사람>은 작가가 내놓은 오랜만의 신작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갔고, 그래서 반가운 마음을 담아 손에 쥐고 곧바로 읽게 된 작품이었다. 아무런 정보 없이 집어든 관계로 장편인 줄 알았는데, 각기 다른 장르의 단편 소설로 구성돼 있음을 페이지를 넘겨보고서야 비로소 깨닫게 돼 재밌었다.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단편집 <오직 두 사람>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 야기되는 상실, 그 이후의 삶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이야기들이 꽤나 현실적으로 다가와서 놀라움을 전하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었다. 깊고 불편한 틈이 서서히 더 넓게 벌어지면서 늘어가는 균열은 단순히 씁쓸함만을 경험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가끔은 통쾌했고, 잔혹함과 동시에 충격적이었으며 결말을 확인하고 나서도 처음으로 되돌아가 반복적으로 읽기를 거듭하게 만드는 게 단편집 <오직 두 사람>이 지닌 독특한 묘미였다. 여러 장르를 한꺼번에 만날 수 있어 흥미로웠고, 곁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과 나 자신에 대해 곱씹어보게 돼 뜻깊었다. 


그리고,

책을 덮고 나서도 오래도록 생각나는 문장이 우리의 삶을 꿰뚫는 통찰력으로 가득해 쉽사리 잊혀지지가 않더라.  


"위선이여, 안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