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커튼콜 위크에 관람한 사극 뮤지컬 <여기, 피화당> 후기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17세기 조선, 병자호란 이후 혼란하기 그지 없었던 시기에 나타나 백성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며 짜릿함을 선사한 '박씨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가 시선을 사로잡았다. 작자미상의 '박씨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웅 소설로 잘 알려져 있음으로 말미암아 작가에 대한 궁금증이 극대화되기 마련이었는데, 이 작품 역시도 그러한 호기심으로부터 출발하게 된 거라고 해서 고개가 끄덕여졌다. 

 

 

역사적 사건과 허구적인 상상력이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내용은 관람하는 내내 심금을 울리며 눈물 콧물을 쏙 빼게 만들었다. 배우들의 호연과 스토리 구성의 조화로움을 보는 즐거움이 쏠쏠했다. 이날의 캐스팅은 가은비 역 김이후, 후량 역 조풍래, 매화 역 장보람, 계화 역 곽나윤, 강아지 역 이찬렬로 이루어졌다. 

 

 

전쟁통에 청나라로 끌려갔다 돌아온 여인들은 가족들에게 버림받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렸다. 그리하여 가은비는 같은 처지에 놓인 매화, 몸종 계화와 산 속 동굴에 몸을 숨긴 채 피화당이라 이름 붙이고 서로를 의지하며 겨우 살아간다. 이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글을 써서 내다 팔게 됐는데, 익명의 작가가 쓴 이야기로 저잣거리에서 인기를 얻게 되면서 선비 후량의 의뢰를 받게 된다. 아버지의 억울함을 풀기 위한 글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부탁하고자 후량은 어렸을 때부터 함께 커서 친형제와 다름 없는 강아지와 이름 모를 작가를 만나기 위한 길을 나선다.  

 

아무리 국운이 불행한 탓에 벌어진 일이라고 해도, 갖은 수모를 겪은 여인들에게는 너무나도 가혹한 처사였다. 오죽했으면 그들만의 거처를 화를 피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 '피화당'이라고 지었을까 싶어 마음이 아팠다. 그 속에서 글을 통하여 희망을 잃지 않으려 애쓰던 세 여인의 모습이 감명깊게 다가왔다. 

 

가은비, 매화, 계화에게 후량과 강아지가 찾아옴으로써 박씨전이 탄생되는 과정이 이들의 현실과 교차되며 눈 앞에 나타나 인상적이었다. 이로 인하여 가은비, 매화, 계화 뿐만 아니라 후량 역시도 본인이 해야 할 일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확신하며 변화를 선보여 눈여겨 볼만 했다. 한때 소꿉친구로 시간을 보냈던 계화와 강아지의 오붓한 한때도 잊지 못할 것이다.

 

 

우리의 고전을 바탕으로 제작된 공연이라서 전통악기가 선사하는 한의 정서가 절절함을 뿜어내며 극의 분위기에 걸맞는 감성을 마주하게 해줘 만족스러웠다. 이와 함께 가상인물과 실존인물의 어우러짐이 색다른 매력을 안겨주었던 공연이 바로 뮤지컬 <여기, 피화당>이었음을 인정한다.  

 

김이후 가은비는 피화당을 구축한 장본인이자 박씨전의 작가로 다채로운 소리와 춤사위를 통하여 기대 이상의 활약을 선보였고, 장보람 매화는 피화당의 검객으로 탁월한 검술과 더불어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실감나게 표현하며 안타까움을 전하고도 남았으며, 곽나윤 계화는 참혹했던 과거를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눈여겨 볼만 했다. 그리고 결국에는 가은비를 포함하여 매화, 계화까지 세 사람이 합작하여 써내려간 '박씨전'을 볼 수 있어 뜻깊었다. 

 

조풍래 후량은 박씨전 속 이시백을 맡았을 때 파악할 수 있었던 타령조의 넘버 소화력이 귀를 기울이게 만들었고, 강아지와 계화의 관계를 알아채고 눈치있게 빠져주던 여유로운 면모가 도드라졌다. 공연의 분위기 메이커와 다름 없었던 이찬렬 강아지의 매력도 입가에 미소를 띄게 할 때가 상당했음은 물론이다.    

 

 

전형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이긴 하지만, 우리의 아픈 역사를 무대 위에 구현하며 메시지를 전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었으므로 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뮤지컬 <여기, 피화당>을 볼 때마다 눈물이 흘러내리는 게 당연하다 싶어지는 순간이 적지 않아 이로 인해 숙연함이 느껴질 때가 존재했음을 언급하고 넘어간다. 

 

이날은 뮤지컬 <여기, 피화당>의 스페셜 커튼콜 위크가 진행돼서 넘버 '#11 박씨전 두 번째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는 일이 가능하여 흡족했다. 그로 인해 맞닥뜨릴 수 있었던 김이후 가은비의 부채춤이 관심을 집중시켰다. 

 

 

오랑캐가 쳐들어 올 것임을 감지한 가은비가 설중매와 대립하는 장면이 부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점도 탄성을 내뱉게 도왔다. 김이후 가은비 뿐만 아니라 장보람 매화의 몸놀림 또한 탁월해서 이로 인한 볼거리가 풍성했다. 

 

 

사극 뮤지컬로 이목을 집중시켰던 뮤지컬 <여기, 피화당>은 2023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선정작으로 기대 이상의 감동을 전했음을 밝힌다. 힘겨운 시대를 살아가는데 있어 이야기의 힘이 주는 저력을 깨닫게 돼 이 점도 강렬한 여운을 안겨주었다. 넘버도 괜찮았다. 

 

대학로 플러스씨어터 2층 4열인 S석에서 관람했는데, 시야가 확 트여서 무대 전체를 한 눈에 들여다 볼 수 있어 이 또한 즐거웠다. 위메프 할인이 있다면, 날아오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댓글()